- 유성음화
- 모음 조직
- 목소리
- 발성술
- 가창법
- 발성
- 발성법
- 소리를 냄
- 말
元音符号的韩文
发音:
- 유성음화
- 모음 조직
- 목소리
- 발성술
- 가창법
- 발성
- 발성법
- 소리를 냄
- 말
相关词汇
- 注音符号: ☞[注音字母]
- 隔音符号: [명사] 격음 부호. 한어 병음 방안(漢語拼音方案)에서 규정한 부호( ’ )로서, a‧o‧e의 앞에 사용하여 음절과 음절의 구분을 표시함. 예를 들면, ‘激昂jī’áng’ ‘定额dìng’é’에서의 ‘ ’ ’부호.
- 音符: [명사]〈음악〉 음부. 음표(音標).
- 元音: [명사]〈언어〉 모음. =[元母] [母音] ↔[辅音] →[韵母]
- 降音符: [명사]〈음악〉 내림표. 플랫(flat). =[降号] ↔[婴yīng记号]
- 符号(儿): [명사](1)기호. 표기. 부호.代数符号(儿);대수 기호注音符号(儿);주음부호标点符号(儿);문장 부호(2)휘장(徽章).
- 符号论: [명사]〈철학〉 기호설(記號說).
- 钉符号: 표가 될 만한 것을 실이나 철사로 매놓다.
- 前元音: [명사]〈언어〉 전모음. 앞모음. [중국어의 모음 중 ‘i‧ü‧e’와 같이, 발음할 때에 혀의 위치를 앞으로 내어 경구개(硬口蓋)와의 사이에서 소리를 내는 모음] →[元音]
- 升元音: [명사]〈언어〉 고모음(高母音). 폐모음. ‘i’ ‘ü’ 등 혀가 가장 높은 위치에서 조음되는 모음.
- 半元音: [명사]〈언어〉 반모음. [찰음(擦音)중 날숨이 비교적 약하고 마찰이 비교적 작은, 모음과 자음의 사이에 위치하는 음. 예를 들면 중국어의 ‘因为yīn‧wèi’에서 ‘y’ ‘w’가 이에 해당됨]
- 单元音: [명사]〈언어〉 단모음. →[韵yùn母]
- 双元音: [명사]〈언어〉 이중 모음(二重母音). 복모음(複母音). =[复fù合元音]
- 合元音: [명사]〈언어〉 합원음. [입을 좁게 벌리고 내는 모음. i, u, ü를 말함] =[闭bì元音] [高元音]
- 后元音: [명사]〈언어〉 후모음(後母音).
- 央元音: [명사]〈언어〉 중설 모음. [혀의 위치가 구강의 중간 부분에 놓여 발음되는 ‘元音’의 하나. 중국어 표준음의 ‘啊ā’ 따위임] =[中元音]
- 开元音: [명사]〈언어〉 개모음(開母音). =[开韵] [下降元音]
- 短元音: [명사]〈언어〉 단모음(短母音). ↔[长cháng元音] →[母mǔ音] [元yuán音]
- 长元音: [명사]〈음악〉 장모음.
- 闭元音: ☞[合hé元音]
- 三连音符: [명사]〈음악〉 셋잇단음표. 트리플렛(triplet). 삼연음부.
- 二全音符: [명사]〈음악〉 2온음표.
- 二分音符: [명사]〈음악〉 이분음표. 이분음부.
- 十六分音符: [명사]〈음악〉 16분 음표.
- 四分音符: [명사]〈음악〉 4분 음표.